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12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20개 세 글자:173개 네 글자:169개 다섯 글자:65개 여섯 글자 이상:118개 모든 글자:646개

  • : (1)불도 수행에서 참과 거짓, 선악을 살피어서 올바로 취사선택하는 일곱 가지 지혜. 택법각분, 정진각분, 희각분, 제각분, 사각분, 정각분, 염각분을 이른다.
  • : (1)칠을 하는 데에 쓰는 재료.
  • : (1)‘칠순’의 북한어. (2)물건의 겉면에 다른 물질을 흠뻑 칠하여 바름. 또는 그런 겉더께.
  • : (1)옻칠을 한 갓. 어두운 흑갈색이다.
  • :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 : (1)달랑겟과의 게. 등딱지의 길이는 3.6cm 정도로 길쭉하며, 앞이 조금 더 넓고 작은 과립과 털로 덮여 있다. 수컷이 암컷보다 집게다리가 크다. 해변의 진흙질 바닥에 구멍을 파고 사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바르지 못한 일곱 가지 견해. 사견, 아견, 상견, 단견, 계금취견, 과도견, 의견을 이른다.
  • : (1)일곱 가지 주요 경서(經書). ≪시경≫ㆍ≪서경≫ㆍ≪예기≫ㆍ≪악기(樂記)≫ㆍ≪역경≫ㆍ≪춘추≫ㆍ≪논어≫, 또는 ≪시경≫ㆍ≪서경≫ㆍ≪역경≫ㆍ≪예기≫ㆍ≪춘추≫ㆍ≪주례≫ㆍ≪의례≫, 또는 ≪시경≫ㆍ≪서경≫ㆍ≪춘추≫ㆍ≪의례≫ㆍ≪주례≫ㆍ≪예기≫ㆍ≪논어≫, 또는 ≪시경≫ㆍ≪서경≫ㆍ≪의례≫ㆍ≪주례≫ㆍ≪예기≫ㆍ≪공양전≫ㆍ≪논어≫를 이른다.
  • : (1)‘칠언 고시’를 줄여 이르는 말. (2)성모 마리아가 예수 때문에 겪게 되는 일곱 가지 큰 고통. 곧 괴로움을 당하리라는 시몬의 예언을 들었을 때, 이집트로 피난 갈 때, 예수를 잃고 찾아 헤맬 때, 십자가를 진 예수를 만났을 때, 못 박혀 죽은 예수 앞에 섰을 때, 십자가에서 예수의 주검을 내렸을 때와 묻을 때 겪은 고통을 이른다.
  • : (1)칠하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 : (1)조선 시대에, 관리가 되는 일곱 가지 길. 곧 문과(文科), 무과(武科), 문음(門蔭), 이과(吏科), 역과(譯科), 음양 복서과(陰陽卜筮科), 의과(醫科)를 이르는 말이다.
  • : (1)고려 예종 4년(1109)에 국학(國學)에 베푼 일곱 개 분과(分科). 곧 여택재, 대빙재, 경덕재, 구인재, 복응재, 양정재, 강예재를 이른다.
  • : (1)사람이 마땅히 지켜야 할 일곱 가지 가르침. 군신, 부자, 부부, 형제, 붕우, 장유, 빈객에 관한 도리를 이른다. (2)옻에 물렸다는 뜻으로, ‘칠창’을 이르는 말. (3)칠교도를 가지고 노는 놀이.
  • : (1)중국 한나라 경제(景帝) 때의 일곱 제후국. 오(吳), 초(楚), 교서(膠西), 교동(膠東), 치천(淄川), 지난(濟南), 조(趙)를 이른다. (2)중국 전국 시대에 할거하던 일곱 강국. 진(秦), 초(楚), 연(燕), 제(齊), 조(趙), 위(魏), 한(韓)을 이른다.
  • : (1)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일곱 사당. 육상궁, 저경궁, 대빈궁, 연우궁, 선희궁, 경우궁, 덕안궁을 이른다. 조선조 역대 임금 가운데 정궁(正宮) 소생이 아닌 군주의 사친(私親)을 모신 곳으로, 영조 1년(1725)에 그의 모친 숙빈(淑嬪) 최씨(崔氏)를 육상궁에 모신 데서 유래한다. (2)조선 시대에 있었던 일곱 궁궐. 명례궁, 용동궁, 수진궁, 어의궁, 육상궁, 경우궁, 선희궁을 이른다. (3)농가에서 음력 7월에 겪는 식량의 궁핍. 묵은 곡식은 떨어지고 햇곡식은 아직 익지 않아서 겪는 궁핍으로, 농가에서 가장 어려운 고비이다.
  • : (1)사람의 얼굴에 있는 일곱 개의 구멍. 귀, 눈, 코에 각 두 개씩 있으며 입에 하나가 있다.
  • : (1)칠죄종(七罪宗)에 상대되는 일곱 가지 덕행. 믿음, 소망, 사랑의 향주덕(向主德)과 지덕, 의덕, 용덕, 절덕의 사추덕(四樞德)을 이른다.
  • : (1)마음대로 잡았다 놓아주었다 함을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의 제갈량이 맹획(孟獲)을 일곱 번이나 사로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 (1)‘칡’의 방언 (2)사람이 느끼는 일곱 가지 마음의 작용. 기쁨, 노여움, 슬픔, 미움, 사랑, 놀람, 두려움을 이른다. (3)옻칠을 한 나무 그릇. (4)옻칠과 같이 검은 잿물을 입혀 만든 도자기.
  • : (1)‘챌낚’의 북한어.
  • : (1)인왕반야경에 나오는 일곱 가지 재난. 해와 달의 운행이 도를 잃고 빛을 잃는 일월 실도난, 금성과 혜성이 변하는 성수 실도난, 큰 불이 이는 재화난, 홍수가 지는 우수 변이난, 태풍 부는 악풍난, 가뭄이 드는 항양난, 사방으로부터 적병과 도적이 일어나는 악적난을 이른다. (2)약사경에 나오는 일곱 가지 재난. 인중 질역난, 타국 침핍난, 자계 반역난, 성수 변괴난, 일월 박식난, 비시 풍우난, 과시 불우난을 이른다. (3)법화경에 나오는 일곱 가지 재난. 화난, 수난, 나찰난, 왕난, 귀난, 가쇄난, 원적난을 이른다. (4)다라니경에 나오는 일곱 가지 재난. 왕난, 적난, 수난, 화난, 나찰난, 다지이귀난, 독약난을 이른다.
  • : (1)‘옻나무’의 방언
  • : (1)절에 있는 일곱 가지 건물. 진언종에서는 오륜탑ㆍ금당ㆍ강당ㆍ종루ㆍ경장ㆍ대문ㆍ중문을 이르고, 선종에서는 불전ㆍ법당ㆍ승당ㆍ고리ㆍ삼문ㆍ욕실ㆍ서정을 이르며, 천태종에서는 쌍륜당ㆍ중당ㆍ강당ㆍ계단당ㆍ상행당ㆍ법화당ㆍ문수루를 이른다.
  • : (1)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낳는 일곱 가지 요소. 지대(地大), 수대(水大), 화대(火大), 풍대(風大), 공대(空大), 견대(見大), 식대(識大)를 이른다.
  • : (1)무력을 가진 자가 지켜야 하는 일곱 가지 덕. 금포(禁暴), 즙병(戢兵), 보대(保大), 정공(定功), 안민(安民), 화중(和衆), 풍재(豐財)를 이른다. (2)정치를 하는 사람이 지켜야 하는 일곱 가지 덕. 존귀(尊貴), 명현(明賢), 용훈(庸勳), 장로(長老), 애친(愛親), 예신(禮新), 친구(親舊)를 이른다. (3)시(詩)에서 필요한 일곱 가지 덕. 식리(識理), 고고(高古), 전려(典麗), 풍류(風流), 정신(精神), 질간(質幹), 체재(體裁)를 이른다.
  • : (1)옻의 독기.
  • : (1)옻칠을 한 듯한 까만 눈동자. (2)날카롭게 한 번 쳐다보는 서슬 푸른 눈.
  • : (1)‘칠떡거리다’의 어근.
  • : (1)화투에서, 청단이나 홍단이 섞인 다섯 끗짜리 일곱 개를 갖추는 일. (2)‘칠뜨기’의 방언
  • : (1)중국 전한의 학자 유향의 ≪별록≫에 입각하여 그의 아들 흠(歆)이 지은 서적 분류 목록. 집략, 육예략, 제자략, 시부략, 병서략, 술수략, 방기략으로 분류하였다. 3만 2000권.
  • : (1)일곱 개의 도리를 건 지붕틀의 꾸밈새.
  • : (1)큰 그릇 따위에 그득 찬 액체가 넘칠 듯 흔들리는 모양. 또는 흔들려 넘쳐흐르는 모양.
  • : (1)‘칠렁거리다’의 어근.
  • : (1)남아메리카 서남쪽에,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공화국. 1818년에 에스파냐에서 독립하였다. 구리를 비롯한 지하자원이 풍부하고 칠레 초석(硝石)이 유명하며, 주민은 에스파냐계 혼혈이 대다수로 가톨릭을 신봉하고 주요 언어는 에스파냐어이다. 수도는 산티아고, 면적은 75만 6946㎢.
  • : (1)‘처럼’의 방언
  • : (1)일곱 가지 번뇌. 견루, 수루(受漏), 근루, 악루, 친근루, 수루(修漏), 염루를 이른다.
  • : (1)‘칠월’의 방언
  • : (1)‘칠언 율시’를 줄여 이르는 말.
  • : (1)옻나무로 이루어진 숲.
  • : (1)옻칠을 한 갓. 어두운 흑갈색이다.
  • : (1)주로 포도주 따위를 어느점 가까이 차게 하는 일.
  • : (1)음력 열이렛날에 달의 반구(半球)가 태양의 빛으로 밝게 빛나는 현상.
  • : (1)겉에 옻칠을 한 나무로 만든 탈.
  • : (1)옻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7~10미터이며, 잎은 7~11개의 작은 잎으로 된 우상 복엽이다. 6월에 누런 녹색 단성화가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어 뽑은 진은 옻칠의 원료로 쓰고, 목재는 가구재(家具材)나 부목(副木)을 만드는 데 쓴다. 어린잎은 식용하기도 한다.
  • : (1)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를 징계하기 위하여 그 집 대문에 옻칠을 하던 일. 또는 그 방법. 감찰들이 밤중에 탐관오리의 대문에 죄상을 적어 붙이고, 문짝에 검은 칠을 하여 단단히 봉한 후 수결을 두었다.
  • : (1)옻칠을 하여 만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옻칠을 한 함지박.
  • : (1)약물 배합의 차이에 따라 일곱 가지로 분류한 처방. 대방, 소방, 완방, 급방, 기방, 우방, 복방을 이른다. (2)옻칠을 한 물건들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곳.
  • : (1)‘칠언 배율’을 줄여 이르는 말.
  • : (1)죽은 사람의 몸에 남아 있는 일곱 가지의 정령(精靈). 귀, 눈, 콧구멍이 각기 둘이고 입이 하나임을 가리킨다. (2)도교에서, 사람의 몸에 있는 일곱 가지 넋. 몸 안에 있는 탁한 영혼으로서 시구(尸拘), 복시(伏矢), 작음(雀陰), 탄적(呑賊), 비독(非毒), 제예(除穢), 취폐(臭肺)가 있다.
  • : (1)수확성이 높고 추위에 잘 견디는 자두 품종. 과일 껍질은 누르스름한 붉은색에서 자주색이 도는 붉은색으로 변하며 살은 누렇고 두꺼우며 달다. (2)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마노ㆍ거거ㆍ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ㆍ은ㆍ마노ㆍ유리ㆍ거거ㆍ진주ㆍ매괴를 이른다. (3)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윤보,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를 이른다. (4)금, 은, 구리 따위의 바탕에 갖가지 유리질의 유약을 녹여 붙여서 꽃, 새, 인물 따위의 무늬를 나타내는 공예. 또는 그 공예품. (5)‘칠푼’의 방언
  • : (1)칠난(七難)을 벗어난 행복.
  • : (1)여자 머리의 댕기에 붙이는 꽃 모양의 귀금속 장식품.
  • : (1)십분의 칠이라는 뜻으로, 어느 정도 상당한 부분을 이르는 말.
  • : (1)일곱 부처. (2)지난 세상에 나타난 일곱 부처.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카시아파, 석가모니불이다.
  • : (1)칠을 하는 데에 쓰는 붓.
  • : (1)‘부들’의 방언
  • : (1)중국의 일곱 정사(正史)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송사≫, ≪남제서≫, ≪양서≫, ≪진서≫, ≪위서≫, ≪북제서≫, ≪주서≫를 이른다. (2)나라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에 지내던 일곱 제사. 봄에는 사명(司命)과 호(戶), 여름에는 조(竈), 가을에는 문(門)과 여(厲), 겨울에는 행(行), 계하(季夏)와 토왕(土旺)에 중류(中霤)에게 지냈다.
  • : (1)일곱 가지의 산증(疝症). 한산, 수산, 근산, 혈산, 기산, 호산, 퇴산을 이른다.
  • : (1)몸에 허손증이 생기는 일곱 가지 원인. (2)남자의 신기가 허약하여 생기는 일곱 가지 증상. (3)옻을 칠한 상.
  • : (1)태양광을 스펙트럼으로 나눌 때 나타나는 일곱 가지 빛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빛, 보라를 이른다. (2)옻칠의 광택.
  • : (1)일곱 번 다시 태어남. 이 세상에 다시 태어날 수 있는 가장 많은 횟수이다.
  • : (1)사서와 삼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의 세 경서를 이른다. (2)중국의 병법에 관한 일곱 가지 책. ≪육도(六韜)≫, ≪손자≫, ≪오자≫, ≪사마법(司馬法)≫, ≪삼략(三略)≫, ≪울요자(尉繚子)≫, ≪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를 이른다. (3)종이가 없던 옛날에 대쪽에 새겨 옻칠을 한 글자.
  • : (1)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 이때에 은하의 서쪽에 있는 직녀와 동쪽에 있는 견우가 오작교에서 일 년에 한 번 만난다는 전설이 있다. (2)음력 7월 7일을 이르는 말.
  • : (1)옻칠을 한 부채.
  • : (1)황금의 품질을 10등급으로 나누었을 때의 네 번째 등급. (2)관(棺) 속 바닥에 까는 얇은 널조각. 북두칠성을 본떠서 일곱 개의 구멍을 뚫어 놓는다. (3)탐랑(貪狼), 거문(巨門), 녹존(祿存), 문곡(文曲), 염정(廉貞), 무곡(武曲), 파군(破軍) 따위 일곱 개의 별. 밀교에서, 이것을 섬기면 천재지변 따위를 미리 막을 수 있다 하여 북두 만다라를 본존으로 하는 북두법이 최대 비법이었다. (4)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5)동양 음악에서, ‘칠음’을 이르는 말.
  • : (1)‘이롭’의 방언
  • : (1)일흔 날. (2)일흔 살. (3)사람의 덕을 높이는 일곱 가지 순종의 도. 순천(順天), 순지(順地), 순민(順民), 순리(順利), 순덕(順德), 순인(順仁), 순도(順道)를 이른다.
  • : (1)‘이롭’의 방언
  • : (1)매우 캄캄한 방.
  • : (1)십의 일곱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일흔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일흔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도료의 한 종류. 니트로셀룰로오스 따위의 유도체를 용제로 하고 수지, 가소제, 안료 따위를 가하여 만든다. 건조가 빠르며 칠이 오래간다.
  • : (1)아주 캄캄한 밤.
  • : (1)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일곱 글자로 이루어진 형식. (2)일곱 자로 한 구를 이루는 한시(漢詩)를 통틀어 이르는 말. 칠언 고시, 칠언 배율, 칠언 절구, 칠언 율시 따위가 있다.
  • : (1)가구나 나무 그릇 따위에 윤을 내기 위하여 옻을 바르는 일.
  • : (1)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유대교나 기독교를 믿는 나라의 역서(曆書)에서 쓰기 시작하였다. (2)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중국 전국 시대에 할거하던 일곱 강국. 진(秦), 초(楚), 연(燕), 제(齊), 조(趙), 위(魏), 한(韓)을 이른다.
  • : (1)한 해의 열두 달 가운데 일곱째 달.
  • : (1)중국 수나라 육법언(陸法言)의 ‘광운 삼십육자모지도(三十六字母之圖)’와 명나라 태조의 명으로 이룩된 ‘홍무정운 삼십일자모지도(三十一字母之圖)’에 나타난 성음(聲音)의 분류. 음의 발성 위치에 따라 분류한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의 일곱 가지를 이른다. (2)음악의 음계를 이루는 일곱 가지 소리. 동양 음악에서는 ‘궁, 상, 각, 변치, 치, 우, 변궁’, 서양 음악에서는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이다.
  • : (1)칠을 바르는 일.
  • : (1)중국 명나라 가정이 왕위에 있는 동안에 활약한 일곱 문인. (2)‘팔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 : (1)조선 시대에, 옻칠하는 일을 업으로 삼던 경공장. (2)옻칠을 한 옷장. (3)옻칠을 한 물건을 넣어 굳히는 장. 주로 갓방에서 갓을 칠하여 두는 데에 쓴다.
  • : (1)활을 만드는 일곱 가지 재료. 산뽕나무, 물소 뿔, 쇠심, 아교풀, 참나무, 대나무, 보껍질을 이른다. (2)사람이 죽은 지 49일 되는 날에 지내는 재. 삼계(三界)와 육도(六道)에 가서 누리는 후생의 안락을 위하여 명복을 빈다. (3)고려 예종 4년(1109)에 국학(國學)에 베푼 일곱 개 분과(分科). 곧 여택재, 대빙재, 경덕재, 구인재, 복응재, 양정재, 강예재를 이른다.
  • : (1)음양가들의 말로, ‘금성’을 이르는 말. 구성(九星)의 하나로, 구궁(九宮)에 있어서의 서쪽 방위, 곧 ‘태방’을 이른다. (2)1907년에 한일 신협약을 맺어 국권을 일본에게 넘겨준 일곱 사람. 이완용, 임선준(任善準), 조중응(趙重應), 송병준, 이재곤(李載崑), 이병무(李秉武), 고영희를 이른다.
  • : (1)옻나무를 심은 밭. (2)조선 후기에, 옻칠한 그릇이나 기구를 팔던 가게.
  • : (1)‘칠언 절구’를 줄여 이르는 말.
  • : (1)상여를 멜 수 있도록 꾸미는 방식의 하나. 길고 굵은 멜대 밑에 가로 방망이 여덟 개를 지르고, 좌우 쪽으로 넓은 줄을 걸어서 일곱 칸을 만들어 한 칸에 한 사람씩 모두 열네 사람이 지도록 한다. (2)태양, 달, 화성, 수성, 목성, 금성, 토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 (3)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이라 하며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위치는 천구(天球)의 북극에서 약 30도 떨어져 있으며, 천추와 천선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곳에서부터 그 길이의 다섯 배만큼 떨어진 거리에 북극성이 있다. 국자의 자루 끝에 있는 요광은 하루에 열두 방위를 가리키므로 옛날에는 시각(時刻)의 측정이나 항해의 지침으로 삼았다. (4)이십팔수 가운데 동ㆍ서ㆍ남ㆍ북에 각각 있는 일곱 개의 별자리. (5)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 기쁨(喜)ㆍ노여움(怒)ㆍ슬픔(哀)ㆍ즐거움(樂)ㆍ사랑(愛)ㆍ미움(惡)ㆍ욕심(欲), 또는 기쁨(喜)ㆍ노여움(怒)ㆍ근심(憂)ㆍ생각(思)ㆍ슬픔(悲)ㆍ놀람(驚)ㆍ두려움(恐)을 이른다. (6)사람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감정. 기쁨(喜)ㆍ성냄(怒)ㆍ근심(憂)ㆍ두려움(懼)ㆍ사랑(愛)ㆍ미움(憎)ㆍ욕심(欲)이다.
  • : (1)우리나라 음악에서, 평조와 계면조의 선법에 각각 둔 일곱 가지 조(調). ≪악학궤범≫에 나온다.
  • : (1)증조(曾祖), 조부(祖父), 부(父), 자신, 자(子), 손자(孫子), 증손(曾孫)의 직계친을 중심으로 하고, 방계친으로 증조의 삼대손 되는 형제ㆍ종형제ㆍ재종형제를 포함하는 동종(同宗) 친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2)고모의 자녀, 자매의 자녀, 딸의 자녀, 외족(外族), 이종(姨從), 생질(甥姪), 장인(丈人), 장모(丈母) 및 자기 동족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불교의 일곱 종파. 율종, 법상종, 삼론종, 화엄종, 천태종, 진언종, 선종이다. (2)선종의 일곱 분파. 조동종, 운문종, 법안종, 임제종, 위앙종, 양기파, 황룡파이다. (3)고려 시대에 나뉜 불교의 일곱 종파. 자은종ㆍ화엄종ㆍ시흥종ㆍ중도종ㆍ남산종의 오교(五敎)와, 조계종ㆍ천태종의 양종(兩宗)이다. (4)고려 말기ㆍ조선 초기에 나뉜 불교의 일곱 종파. 조계종, 천태종, 총남종, 화엄종, 중신종, 시흥종, 자은종이다. 조선 세종 때에 앞의 세 종을 선종으로, 뒤의 네 종을 교종으로 통합하였다.
  • : (1)칠을 한 담뱃대.
  • : (1)부처를 따르는 일곱 부류의 제자. 비구, 비구니, 식차마나, 사미, 사미니, 우바새, 우바이이다.
  • : (1)옻나무의 진액(津液). (2)액체 상태의 옻칠.
  • : (1)구족계를 줄 때에 수계(授戒)에 입회하여 증명하는 일곱 승려.
  • : (1)몸으로 짓는 세 가지 악업과 입으로 짓는 네 가지 악업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살생, 투도, 사음(邪淫), 망어(妄語), 기어(綺語), 악구(惡口), 양설(兩舌)이다. (2)칠조 중 일곱 번째 가락. 평조와 계면조에서, 청태주를 으뜸음으로 한다. (3)옻칠을 한 종이.
  • : (1)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ㆍ은ㆍ유리ㆍ파리ㆍ마노ㆍ거거ㆍ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ㆍ은ㆍ마노ㆍ유리ㆍ거거ㆍ진주ㆍ매괴를 이른다. (2)일곱 가지 맥상(脈象). 소(小), 대(大), 질(疾), 지(遲), 열(熱), 한(寒), 함하(陷下)를 이른다. (3)의사가 진맥할 때에 유의할 일곱 가지 일. 이에는 마음을 안정하는 일, 잡생각을 버리는 일, 숨을 고르게 쉬는 일, 손끝을 가볍게 짚어서 육부맥(六腑脈)을 보는 일, 눌러 짚어서 위기(胃氣)를 보는 일, 핏줄이 뼈에 닿도록 세게 눌러 짚어서 오장맥(五臟脈)을 보는 일, 어제(魚際)와 척택(尺澤) 혈(穴) 쪽으로 나가면서 맥상을 짚어 보는 일이 있다.
  • : (1)61세에서 70세까지를 이르는 말. 한 질(秩)은 십 년을 이른다. (2)일흔 살을 이르는 말.
  • : (1)‘칡차’의 방언
  • : (1)고려ㆍ조선 시대에, 서울에서 의주 사이에 있던 일곱 개의 주요 역참(驛站). 의주, 정주, 안주, 평양, 황주, 개성, 한양에 두었다.
  • : (1)옻독이 올라 생기는 급성 피부병.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칠로 끝나는 단어 (197개) : 생삼사칠, 주홍칠, 정벌칠, 나전 칠, 개칠, 동유칠, 복색 조칠, 꺼칠, 정제 옻칠, 왜칠, 헌칠, 퇴칠, 왁스 칠, 굴리기 칠, 프로메튬 백사십칠, 나뭇결 칠, 바닥칠, 희칠희칠, 아칠아칠, 윈드 칠, 지 칠십칠, 곤도박칠, 피시구칠, 배칠배칠, 진칠, 칠칠, 침칠, 콘크리트 뿜칠, 세슘 백삼십칠, 어칠비칠 ...
칠로 끝나는 단어는 197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칠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12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